본문 바로가기
치과위생학 공부하기/치아형태학

치아의 형태 및 특징1

by 홈쑤니 2023. 10. 18.

1. 치아와 관련된 면과 방향

 인체의 방향에 관한 용어들을 치아에 그대로 응용할 수도 있지만 구강, 특히 치아에서는 조금 특유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치관의 치면은 평면상태가 아니라 굴곡이 있는 형태로 그 나름의 풍융부와 함몰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치면은 그 면들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면의 명칭이 정해지며 전치부는 4개의 면과 1개의 연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치부는 5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순측(abial side)과 협측(buccal side), 순면(labial surface)과 협면(buccal surface)

 절치와 견치에서 입술 방향을 순측이라 하고 구치에서 빰 방향을 협측이라 한다. 전치와 구치를 함께 부를 때 구강전정(DHN)을 향하므로 전정측 또는 얼굴 안면을 향 하고 있어 안면측이라 한다. 이때, 순측에 있는 면을 순면, 협측에 있는 면을 협면이라 한다.

 

2) 설측(ingual side)과 구개측(palatal side), 설면(ingual surface)과 구개면(palatal surface)

 하악에서는 혀쪽을, 상악에서는 구개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설측과 구개측이라 한다.

이들은 또한 고유구강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구강측이라고 도 한다. 이때 설측에 있는 면을 설면, 구개측에 있는 면을 구개면이라 한다.

 

3) 근심측(mesial side)과 원심측(distal side)

 치열궁에서 두 치아가 서로 인접한 면으로 정중선에서 가까운 쪽을 근심측, 먼 쪽을 원심 측이라 한다. 이때, 근심측에 있는 면을 근심면, 원심측에 있는 면을 원심면이라 한다. 근심 면과 원심면에서 다른 치아와 인접하므로 이 두 면을 동시에 인접면 또는 접촉면이라 한다.

대부분의 치아는 근원심면끼리 서로 접촉하나 상악 최후방치아는 근심면에서만, 상하악 중 절치는 근심면끼리만 접촉한다.

 

4) 절단측(incisal side) 및 교합측(occlusal side)

전치의 음식을 절단하는 부분을 절단측이라 하며, 구치의 음식을 분쇄하는 방향을 교합측이라고 한다. 이때 절단측은 면이 아니라 연이라고 하여 절단연이라 부르며, 구치의 교합측에 있는 면을 교합면이라 한다.

 

5) 치관측(crown side)과 치근측(root side)

치아의 장축 방향에서 치관에 가까운 방향을 치관측, 치근에 가까운 방향을 치근측이라 한다. 또한 치관의 범위에서 절단측(교합측)과 치경측으로 방향이 구분되고 치근의 범위에 서는 치경측과 치근첨측으로 방향이 구분된다.

 

2. 치아의 3등분

치아의 치관과 치근의 특정부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각 면을 3등분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그 부분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명명된다.

치관에서 수직(치아 장축방향) 방향은 절단(교합) 1/3부위, 중앙 1/3 부위, 치경 1/3 부위로 나뉘고, 근원심 방향은 근심 1/3 부위, 중앙 1/3 분원, 원심 1/3부 위로 나누어진다.

치근에서 수직(치아 장축방향) 방향과<근원심 방향)모두 치정1/3 부위,중앙1/3 부위,치 근단1/3 부위로나누어진다.

 

 

3. 치형의 용어

1) 연(margin)

치면의 한계부위를 연 또는 변연이라 하며, 치면과 치면의 경계부위가 된다. 각 면에 연의 명칭은 연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따른다.

 

 (1) 전치부의 연

  순면과 설면에는 4개의 연이 있고 인접면에는 3개의 연이 있다.

  •  순•설면
절단연(incisal margin) 절단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근심연(mesial margin) 근심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원심연(distal margin) 원심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치경연(cervical margin) 치경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 인접면
순측연(abial margin) 순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설측연(ingual margin) 설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치경연(cervical margin) 치경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2) 구치부의 연

협면, 설면, 인접면, 교합면에 연이 각 4개씩 있다.

 

  • 협•설면
교합연(occlusal margin) 교합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근심연(mesial margin) 근심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원심연(distal margin) 원심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치경연(cervical margin) 치경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 인접면
협측연(buccal margin) 협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설측연(lingual margin) 설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교합연(occlusal margin) 교합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치경연(cervical margin) 치경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 교합면
협측연(buccal margin) 협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설측연(lingual margin) 설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근심연(mesial margin) 근심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원심연(distal margin) 원심측으로 향하는 연이다.

 

2) 우각(angle)

 몇 개의 치면이 만나서 이루는 각을 우각이라 하는데, 일반적으로 치면은 파절이나 마모를 제외하고 각(angle)이나 점상(point) 또는 평편한 면은 거의 없다. 그러나 마 모나 외상에 의해 깨어지면 각을 이루기도 한다.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용어로 능각과 첨각을 사용한다.

 

(1) 능각 (line angle)

2개의 치면이 만나서 이루는 선상의 각을 말하며 명칭은 두 면을 합성해서 불린다. 예를 들면 원심면과 설면이 만나서 이루는 능각은 원심설면능각이라고 한다.

 

  • 전치부의 능각 - 전치부에는 4개의 능각이 존재한다.
근심순면능각(mesio-labial line angle 근심면과 순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근심설면능각(mesio-lingual line angle) 근심면과 설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원심순면능각(disto-labial line angle) 원심면과 순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원심설면능각(disto-lingual line angle) 원심면과 설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 구치부의 능각 - 구치부에는 8개의 능각이 존재한다.
근심협면능각(mesio-buccal line angle)  근심면과 협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원심협면능각(disto-buccal line angle) 원심면과 협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근심설면능각(mesio-lingual line angle) 근심면과 설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원심설면능각(disto-lingual line angle) 원심면과 설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협측교합면능각(bucco-occlusal line angle) 협면과 교합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설측교합면능각(inguo-occlusal line angle) 설면과 교합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근심교합면능각(mesio-occlusal line angle) 심면과 교합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원심교합면능각(disto-occlusal line angle) 원심면과 교합면이 이루는 선상의 각이다.

 

(2) 첨각(point angle)

3개의 치면이 만나서 이루는 점상의 뾰족한 부분을 말하며 전치에는 2개, 구치에는 4개 의 첨각이 존재한다.

 

  • 전치부의 첨각 - 전치부에는 2개의 첨각이 존재한다.
근심순측설면 첨각(mesio-labioingual point angle) 근심면과 순면, 설면이 만나서 이 루는 점상의 뾰족한 부분이다.
원심순측설면 첨각(disto-labiolingual point angle) 원심면과 순면, 설면이 만나서 이 루는 점상의 뽀족한 부분이다.

 

  • 구치부의 첨각 - 구치부에는 4개의 첨각이 존재한다.
근심협측교합면첨각(mesio-buccoocclusal point angle)  근심면과 협면, 교합면이 만나서 이루는 점상의 뾰족한 부분이다.
원심협측교합면첨각(disto-buccoocclusal point angle) 원심면과 협면, 교합면이 만나서 이루는 점상의 뾰족한 부분이다.
근심설측교합면첨각(mesio-linguoocclusal point angle) 근심면과 설면, 교합면이 만나서 이루는 점상의 뾰족한 부분이다.
원심설측교합면첨각(disto-linguoocclusal point angle) 원심면과 설면, 교합면이 만나서 이루는 점상의 뾰족한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