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의 주위조직
1. 백악질(cementum)
- 치근의 표면을 덮고 있으며, 골조직과 성분이 가장 유사
- 배부로는 상아질과 접하며 외부로는 치근막과 접하여 치아가 치조골에 부착되도록 중간 역할을 담당
- 내면 : 상아질에 접착
- 외면 : 치근막에 연결 -> 치아를 악골에 고정시키는 역할
- 구성 : 65% 무기질, 23% 유기질, 12% 수분
- 상아질보다 경도가 약함
- 경도 : 뼈보다 단단하지만 법랑질이나 상아질보다는 덜 단단
- 치경선 부위에서는 아주 얇다
- 색깔 : 백색, 약간 불투명
2. 치주인대(periodontal ligament)
- =치근막(periodontal membrance)
- 교원성 결합조직 섬유로 구성
- 백악질과 골조직에 영양을 공급
- 교합 및 저작압에서 오는 하중을 분산
- 완충작용을 하여 골조직과 백악질을 유지, 재생
- 동통에 대한 수용기능 : 신경, 혈관, 임파관이 풍부, 치아를 치조골에 결합
3. 치조골(alveolar bone)
- 구강 내에 있어서 치아가 심어져 있는 상악과 하악의 뼈
- =치조돌기(alveolar process)
- 치조와(alveolar socket) - 치아의 치근이 박혀 있는 치조돌기 내의 구멍, 형태는 치근의 외형과 일치, 치아가 상실되고 나면 완전히 흡수됨
4. 치은(gingiva)
- 치조골을 덮고 있는 치경선 주위를 에워싸고 있는 연조직
- 역할 : ① 치조골에 부착되어 치아의 지지를 도움 ② 세균과 음식물 잔사로부터 치근막을 보호 ③ 저작 시의 압력과 음식물과의 마찰에 대해 저항
- 유리치은 = 변연치은(marginal gingiva) -> 치경의 순(협), 설면에는 1mm 내외의 넓이를 가진 치은이 치아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치경부 주위를 부채꼴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는 치은
5. 치은 열구(gingiva sulcus)
- 치아와 치은 사이 공간
- 치관의 일부가 구강 내에 노출되면 구강상피의 일부는 점차 법랑질로부터 떨어져서 법랑질과의 사이에 치은 열구를 형성
- 치은열구의 깊이 : 대략 0.5-1.0mm -> 치주질환에 이완되면 치은 열구 깊어짐
6. 치간 유두(interdental papilla)
- 치아와 치아 사이에 위치하은 치은
- 치아는 일반적으로 절단 또는 교두 측이 넓고 치경부로 갈수록 좁아진다
- 치아간극(interproximal space) -> 치아와 치아사이의 삼각형의 공간
- 인접한 치아가 서로 접촉하고 있을 경우 : 잘 발달
- 치아가 접촉하지 않은 경우 : 높이가 낮아짐
- 치아와 치아 사이의 간격이 클 경우 : 거의 존재하지 않음
치아의 표기법과 명명법
1. 치아의 명칭을 나타내는 기호와 치식
- 정중선(median line) - 구강에서 악궁을 좌우로 이등분하여 얻는 가상의 선
- 교합선(occlusal line) - 상하로 나누어 얻어지는 가상의 경계선
2. 치아 위치를 표기하는 방법
정중선 (median line) | ||
교합선 (occlusal line) |
상악 우측(maxillary right) | 상악 좌측(maxillary left) |
하악 우측(mandibular right) | 하악 좌측(mandibular left) |
※ 상대방을 중심으로 치아의 좌, 우측 표기법
3. 치아의 표기법
① palmer notation system
유치 | 영구치 | ||
E D C B A | A B C D E | 8 7 6 5 4 3 2 1 | 1 2 3 4 5 6 7 8 |
E D C B A | A B C D E | 8 7 6 5 4 3 2 1 | 1 2 3 4 5 6 7 8 |
② FDI system(Federation Dentaire International)
유치 | 영구치 | ||
55 54 53 52 51 | 61 62 63 64 65 | 18 17.16 15 14 13 12 11 | 21 22 23 24 25 26 27 28 |
85 84 83 82 81 | 71 72 73 74 75 | 48 47 46 45 44 43 42 41 | 31 32 33 34 35 36 37 38 |
③ universal numbering system
유치 | 영구치 | ||
A B C D E | F G H I J | 1 2 3 4 5 6 7 8 | 9 10 11 12 13 14 16 |
T S R Q P | O N M L K | 32 31 30 29 28 27 26 25 | 24 23 22 21 20 19 18 17 |
치아의 형태 및 특징
1. 치아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1) 순측과 협측
2) 구개측과 설측
3) 근심측과 원심측, 인접측
4) 치관측과 치근측
2. 치면
전치부의 치면 - 4개의 치면과 1개의 절단연(순면, 설면, 근심면, 원심면, 절단연)
구치부의 치면 - 5개의 면으로 구성(협면, 설면, 근심면, 원심면, 교합면)
*안면(facial surface)
- 순면(labial surface) : 전치에 있어 입술을 향하고 있는 면, 개구시 얼굴 전면에서 보이는 면
- 협면(buccal surface) : 구치에서 볼을 향하고 있는 면
*설면(lingual surface)
- 혀 쪽을 향한 면, 안면의 반대쪽에 있는 면. 상악 치아에서는 구개를 향해 있는 면 => 구개면(palatal surface)
*인접면(proximal surface)
- 동일 치열궁에서 치아가 서로 인접해 있는 면
-> 근심면(mesial surface) : 정중선에 가까이 있는 면
-> 원심면(distal surface) : 정중선으로부터 멀리 있는 면
*절단연(incisal edge, cutting edge)
- 교합 시 대합치와 접촉되는 전치의 연, 절연
*교합면(occlusal surface)
- 교합 시 대합치와 접촉되는 구치의 면 = 저작면(mastication surface)
3. 연(margin)
치면의 가장자리 부분, 연의 명칭은 각 치면의 방향에 따라 호명
- 전치부 순(설) 면을 구성하는 연의 종류(절단연, 근심연, 원심연, 치경연)
- 전치부 인접면을 구성하는 연의 종류(순측연, 설측연, 치경연)
- 구치부의 협(설) 면을 구성하는 연의 종류(교합연, 근심연, 원심연, 치경연)
- 구치부의 인접면을 구성하는 연의 종류(협측연, 설측연, 교합연, 치경연)
4. 우각(angle)
1) 능각(line angle) : 2개의 치면이 만나서 하나의 선상의 각을 형성, 두치면의 명칭을 합성
-> 전치부 : 4개, 구치부 : 8개
2) 청각(point angle) : 3개의 치면이 만나서 이루어지는 첨상의 돌출부, 3개의 치면 명칭을 합성
-> 전치부 : 2개, 구치부 : 4개
'치과위생학 공부하기 > 치아형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형태 및 특징3 (0) | 2023.11.10 |
---|---|
★☆치아형태학 요약정리☆★ (0) | 2023.10.24 |
치아의 형태 및 특징2 (0) | 2023.10.19 |
치아의 형태 및 특징1 (0) | 2023.10.18 |
치아의 구성조직 및 치아 주위 조직 (0)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