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의 개념
- 소화기의 한 기관
- 상악골과 하악골의 치조돌기에 식립
- 고도로 석회화된 경조직성 기관
- 음식물 섭취에 중요한 역할
*유치(deciduous teeth)
- 생후 6-7개월경 ~ 20-30개월(2년~2년 반)까지 맹출
- 총 20개, 탈락치
*영구치(permanent teeth)
- 만 6세 ~ 21세까지 맹출, 총 28-32개
- 만 6-7세 ~ 만 12-13세 맹출(지치 = 사랑니 제외)
*치아의 발생
- 연속적 과정으로 치아가 발생
- 구조적 모양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
- 개시기(initiation stage)
- 뇌상기(bud stage)
- 모상기(cap stage)
- 종상기(bell stage)
- 상아질, 법랑질 형성기
- 맹출(eruption)
*동형치성(homodont)
- 치아의 형태 : 원추형
- 분포 : 양서류, 파충류, 어류 등(하등 동물)
- 역할 : 단순, 오직 음식물을 찢거나 부스러뜨림
*이형치성(heterodont)
- 치아의 형태 : 치열위치에 따라 형태, 역할 다양
- 분포 : 포유류, 사람의 치아(고등 동물)
- 전치부(anterior teeth) : 편편한 형태, 음식물 절단 기능
- 구치부(posterior teeth) : 구형, 음식물 분쇄기능
*치아의 발생 (순서)
- 태생 4-5주경 : 구강형성
- 태생 6-7주경 : 치판형성(치아가 나오는 자리)
- 태생 8주경 : 뇌상기, 치배형성
- 태생 9-10주경 : 모상기
- 태생 14주경 : 종상기
- 태생 16주경 : 영구치 치배형성
- 태생 18주경 : 경조직이 형성
*치아의 맹출
- 탈락치 : 유치
- 계승치 : 대생치, 유치가 탈락된 자리에 맹출 하는 영구치. 중절치-제2소구치까지, 총 20개
- 가생치 : 증가치, 대생치를 제외한 제2유구치의 원심에 맹출 하는 영구치. 대구치, 총 12개
*치아의 맹출 순서, 시기 - 유치
A(생후 6-8개월)
B(생후 7-8개월)
D(생후 12-16개월) - 제1유구치
C(생후 16-20개월) - 견치
E(생후 20-30개월)
*치아의 맹출 순서, 시기 - 영구치
- 상악 : 6(6-7년) -> 1(7-8년) -> 2(8-9년) -> 4(10-11년) -> 5(10-12년) -> 3(11-12년) -> 7(12-13년)
- 하악 : 6(6-7년) -> 1(6-7년) -> 2(7-8년) -> 3(9-10년) -> 4(10-12년) -> 5(11-12년) -> 7(11-13년)
☆견치 뿌리가 가장 길다, 늦게 나오는 이유는 먼저 나온 치아의 자리를 배열해주기 위함.
*치아의 기능
1. 저작기능 - 주기능
음식물 섭취 시 음식물과 타액을 골고루 섞어 부드럽게 하여 주며 소화작용의 1단계 역할
●절치 : 자르는 기능 ●소구치 : 부수는 기능
●견치 : 찢는 기능 ●대구치 : 가는 기능
2. 발음 기능
혀, 입술, 치아가 조화를 이루어 발음에 기여한다. 치아가 결손 되면 발음이 부정확, 불명확해 짐
3. 안모형성기능(심미기능)
악골, 안모근, 혀 등과 같이 얼굴의 모양을 형성하는 미적 요소로 작용
4. 치주 조직의 보호
치아를 지지하고 있는 주위 조직(백악질, 치주인대, 치조골, 치은)의 발달을 돕고 보호해 주는 기능
*치아의 교환에 따른 분류
- 일생치성 : 일생에 한번 맹출 하여 다시 교환하지 않는 치아, 유치와 대구치가 해당
- 이생치성 : 한 번의 교환으로 인해 맹출 하는 치아, 영구치의 중절치-제2소구치가 해당
- 다생치성 : 여러 번 치아가 맹출 ex) 상어
*치아 명명
영구치와 유치, 상악과 하악, 좌측과 우측, 치아의 명칭 순서로 명명
ex) 영구치의 상악 우측 제 1대구치
- 교합선(occlusal line) : 상악과 하악을 구분하는 선
*유치의 종류와 명칭
이명 : 순간치, baby teeth, milk teeth, 탈락치, 제 1생치
- 3가지 종류가 있으며 일악편측 5개씩 모두 20개.
(1) 유절치(deciduous incisor) - 유중절치, 유측절치
(2) 유견치(deciduous canine)
(3) 유구치(deciduous molar) - 제 1유구치, 제 2유구치
*영구치 종류와 명칭
- 4가지 종류가 있으며 일악편측 8개씩 모두 32개
(1) 절치, 문치(incisor) - 중절치 = 제 1문치, 측절치 = 제 2문치
(2) 견치, 창두치(canine, cuspid)
(3) 소구치, 전구치, 쌍두치(premolar, bicuspid) - 제 1소구치, 제 2소구치
(4) 대구치(molar) - 제 1대구치 = 6세구치, 제 2대구치 = 12세구치, 제 3대구치 = 지치
*치관과 치근
● 치관(crown of tooth)
- 겉표면이 법랑질에 의해 덮여 있음
- 저작, 바름, 미적인 기능에 기여
- 육안으로 판별 가능한 부분
● 치근(root of tooth)
- 표면이 백악질로 덮여 있음
- 상악과 하악의 치조골 내에 심어져 있음
- 치아를 고정, 유지시켜주는 역할
- 치관에 비해 길고 좁은 형태
- 육안으로 판별 불가능
*치경선(cervical line)
- 치관에서 치근으로 이행되는 치관과 치근의 경계부
- 치관의 법랑질과 치근의 백악질이 만나는 곳 : 백악범랑 경계
- cemento-enamel junction, CEJ
*임상, 해부학적 치관과 치근
- 임상치관(clinical crown) : 치은선 밖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부분
- 임상치근(clinical root) : 치은과 치조골에 매복되어 있는 부분
- 경계선 gingival line (치은선)
- 해부치관(anatomical crown) : 법랑질로 싸인 부분
- 해부치근(anatomical root) : 백악질로 싸인 부분
- 경계선 cevical line (치경선)
*치아의 구성조직
법랑질(enamel) | 상아질(dentin) | 치수(pulp) |
- 고도로 석회화된 경조직성 고유조직 - 치관의 표면을 형성하여 치아를 보호 - color : 무색, 반투명, 외배엽성 조직 - 96-97% 무기질(많을수록 단단함) - 4% 유기질, 물 |
- 치수강 주위를 감싸고 있으며 치관에서는 법랑질로, 치근에서는 백악질로 덮여있음 - 치아의 구성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 color : 황색, 중배엽성 조직 - 70% 무기질, 18% 유기질, 12% 수분 - 상아질 색은 나이가 들수록 더욱 짙어짐 |
- 치아의 연조직성 내부조직 - 혈관, 신경, 임파관, 결합조직, 조상아 세포로 구성 - 치아에 영양과 지각을 공급 - 제 2상아질과 수복 상아질을 형성 - 동통(pain) 수용 |
*생성시기에 따른 상아질
- 1차 상아질 : 치아가 맹출하고 치근이 완성되기 전까지 형성된 상아질
- 2차 상아질 : 치근이 완성된 후에 형성된 상아질
- 3차 상아질(수복상아질) : 다른 유해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형성되는 상아질 -> 병적으로 생성, 우식, 와동형성, 교모, 마모, 치은 퇴축 등에 의해 생성
*치수강(pulp cavity)
치아의 외형과 비슷
- 수실 : 치관 내부 치수강 부위
- 수실개 : 수실의 절단부위나 교합면 부위를 지칭
- 수실각 : 치아의 결절이나 교두 수와 일치
- 치근관 : 치근에 존재하는 치수강 부분
- 수상저 : 치근관구와 치근관구가 연결되는 부위(다근치, 복근치)
- 치근관구 : 수실에서 치근관으로 연결되는 통로
- 치근첨공 : 혈관, 신경 및 림프관이 치수내부와 연결
'치과위생학 공부하기 > 치아형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형태 및 특징3 (0) | 2023.11.10 |
---|---|
☆★치아형태학 요약정리2☆★ (0) | 2023.11.05 |
치아의 형태 및 특징2 (0) | 2023.10.19 |
치아의 형태 및 특징1 (0) | 2023.10.18 |
치아의 구성조직 및 치아 주위 조직 (0)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