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과위생학 공부하기/치위생학 개론14

예방치과 처치자로서의 치과위생사 1. 예방치과 처치의 개념 치과위생사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치과위생사의 주 업무 중의 하나 인 예방치과저지는 개인 및 집단을 대상으로 치과질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어제 또는 예방하는 한편 그 외에 구강조직을 보호하고 건강한 상태로 보존하여 구강건강을 증진시키 기 위해 행해지는 전문적인 처치이다. 개인이 대상이 되는 치과의료 현장이나 집단의 구장병을 예방할 수 있는 공중구강보건현장에서 예방치과저지는 주로 치과위생사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며 특히 양대 구강병이자 중대구강병(제일 빈도수가 높으며 누구나 걸릴 수 있는 것)인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을 예방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구강병을 예방하는 처치는 간단한 것처럼 보이지만 상당한 손기술 및 촉각을 필요로 하며 좁은 구강 내에서 기구를 조작하고 .. 2023. 10. 17.
치과위생사의 활동현장 1. 치과의료의 분야 ① 구강내과(Oral Medicine) 구강내과에서는 치과진료부에 내원한 초진환자의 구강질환 진단과 적절한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문진, 시진, 촉진, 타진, 후진 등의 구강검사, 각족 임상검사, 생검(biopsy) 등을 시행하고 방사선 검사를 의뢰함으로써 환자가 포괄적이고 적적한 치료를 받도록 한다. 또한 구강내 혀를 포함한 연조직 부위의 각종 질환과 구강건조증을 포함한 타액선 질환을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수행하고 악안면동통 클리닉을 운영하며 개구장애, 개구시 통증, 관절잡음, 저작장애 등의 턱관절장애 환자와 이갈이 환자, 만성 구강안면동통 환자들을 위한 진단과 물리치료 요법을 시행한다. ② 구강악안면방사선과(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구강악안.. 2023. 10. 12.
치과위생사의 역사 치위생사의 역사 치과위생사제도는 미국에서 처음 만들어져 아직 채 100년도 경과하지 않았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제 40여 년의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치과위생사라는 명칭은 치과의료나 구강보건활동에 있어서 전문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직종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만들어져 점차 발전되어 왔으며, 또한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는 바, 치과위생사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교육되어 왔는지를 인식함으로써 치과위생사에 대해서 한층 더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1. 치과위생사의 탄생 치과위생사라는 명칭은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된다. 아폴로(apollo) 신의 아들 에스쿨라피우스(aesculapius, 의학의 신)에게 건강의 여신으로 불리는 하이지아(hygeia)라는 딸이 있었으며, 기원 2세기경 이탈리아 의.. 2023. 10. 11.
치과위생사의 개념 치과위생사의 개념 1. 치과위생사 - 치과위생사란 국민의 구강보건향상과 증진을 위해 구강질환이 발생되기 이전에 예방치과처치를 수행하는 임상술식가이며, 국민의 구강건강관리를 원활히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구강보건교육자이며, 치과진료 과정에서 치과의사의 진료협조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진료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의료기술전문가로서, 소정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취득하며, 다음과 같은 업무를 주로 수행하게 된다 1. 예방치과처지 2. 구강보건교육 3. 구강진료협조 4. 공중구강보건활동 5. 중간관리자 6. 기타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규정된 치과위생사의 업무는 다음과 같다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6항 치과위생사는 치석 등 침착물제거, 불소도포, .. 2023. 10. 10.